난징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징 전투는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군사 작전이다. 1937년 7월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시작된 중일 전쟁에서 일본군은 상하이를 함락시킨 후 난징으로 진격했다. 중국은 장제스의 지휘 아래 난징 방어를 시도했으나, 훈련 부족과 열악한 장비로 인해 일본군에게 밀려 12월 13일 난징이 함락되었다. 일본군은 난징 점령 후 포로와 민간인을 대상으로 대규모 학살, 강간, 약탈을 자행하여 난징 대학살로 불리는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이 전투는 일본의 전략적 승리였지만, 난징 대학살로 인해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중일 전쟁의 장기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전투 - 바르셀로나 5월 사건
1937년 5월 스페인 내전 중 바르셀로나에서 발생한 바르셀로나 5월 사건은 공산주의 세력과 무정부주의 및 좌파 세력 간의 이념 갈등과 권력 다툼이 격화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도시 전역으로 확산되어 다수의 사상자를 낳고 공화파 내부 분열을 심화시켜 스페인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37년 전투 - 보천보 습격
보천보 습격은 1937년 동북항일연군 제6사가 조국광복회 조직원들과 함께 만주국 국경 부근의 함경남도 보천면 보천보를 습격하여 관공서를 공격하고 격문을 살포한 사건으로, 민간인 사망자 발생과 일본 경찰과의 교전이 있었으며, 김일성이 항일 투쟁의 영웅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37년 12월 - 난징 대학살
난징 대학살은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6주 동안 자행한 대규모 학살 및 전쟁범죄로,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은 있지만 국제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한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 1937년 12월 - USS 파나이 사건
1937년 중일전쟁 중 일본군이 미국 해군 파나이호를 폭격하여 침몰시키고 미국인 사상자를 발생시킨 USS 파나이 사건은 외교적 긴장을 고조시켰으며, 일본의 사과와 배상에도 불구하고 공격의 고의성 논쟁이 남아있다. - 1937년 중국 - 난징 대학살
난징 대학살은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6주 동안 자행한 대규모 학살 및 전쟁범죄로,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은 있지만 국제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한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 1937년 중국 - USS 파나이 사건
1937년 중일전쟁 중 일본군이 미국 해군 파나이호를 폭격하여 침몰시키고 미국인 사상자를 발생시킨 USS 파나이 사건은 외교적 긴장을 고조시켰으며, 일본의 사과와 배상에도 불구하고 공격의 고의성 논쟁이 남아있다.
난징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중일 전쟁 |
시기 | 1937년 11월 11일 ~ 1937년 12월 13일 |
장소 | 난징 및 주변 지역, 중화민국 |
결과 | 일본의 승리 |
결과 상세 | 난징 함락 난징 대학살 시작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중화민국 (1912-1949) 지원 세력: 소비에트 연방 |
교전국 2 | 일본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탕성즈 |
지휘관 2 | 아사카 야스히코 친왕 마쓰이 이와네 |
부대 | |
부대 1 | 난징 수비군 소련 자원군 |
부대 2 | 중지나 방면군 |
병력 규모 | |
병력 1 (캠페인 총합) | 약 100,000명 |
병력 1 (난징 전투) | 73,790명 ~ 81,500명 |
병력 2 (캠페인 총합) | 200,000명 |
병력 2 (난징 전투) | 70,000명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캠페인 총합) | 사망: 33,000명 ~ 70,000명 부상: 수만 명 (부상 후 사망 또는 처형 다수) |
사상자 1 (난징 전투) | 전사 및 부상: 6,000명 ~ 20,000명 포로 처형: 30,000명 ~ 40,000명 |
사상자 2 (캠페인 총합) | 전사 및 부상: 27,500명 |
사상자 2 (난징 전투) | 전사: 1,953명 부상: 4,994명 |
민간인 피해 | 난징 대학살로 100,000명 ~ 200,000명의 민간인 사망 |
이미지 | |
![]() |
2. 배경
1931년 만주사변으로 만주국을 세우고 만주를 점령하고 있던 일제는 1937년 중일 전쟁을 일으켜 베이징, 톈진, 상하이를 차례로 점령했다.[376]
당초 난징 점령은 일본군의 전략적 목표가 아니었다.[376] 일제는 화베이에서의 지배권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켰으나, 중국의 강한 저항과 장제스가 창장강 하류에서 새로운 전선을 열고 전쟁을 확대하자, 조기에 중국의 저항 의지를 꺾고자 했다.[376]
하지만 전쟁은 일본의 예상보다 장기화되었고, 특히 상하이를 함락시킬 때 4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376] 이에 일본군 내에서는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으로 진격해야 할지, 아니면 더 이상의 전선 확장을 멈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376]
일본 중지나 방면군 사령관 이와네 마쓰이는 난징 점령이 중국 국민 정부를 붕괴시키고, 일본이 중국과의 전쟁에서 빠르고 완전한 승리를 거둘 수 있다고 확신하며 난징 진격을 주장했다.[13] 제10군 사령관 야나가와 헤이스케 역시 난징 정복을 열망하며, 두 사람은 육군 참모 본부가 부과한 작전 제한선에 불만을 품었다.[12]
11월 19일, 야나가와는 독단적으로 제10군에게 작전 제한선을 넘어 난징으로 진격하라고 명령했고,[14] 11월 22일 마쓰이 역시 육군 참모 본부에 "난징을 정복해야 한다"는 긴급 전보를 보냈다.[16] 시모무라 사다무 참모 본부 작전부 부장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마쓰이의 견해에 동조했고, 결국 11월 24일 참모 본부는 난징 공략을 용인하고 작전 제한선을 폐지했다.[12] 12월 1일, 난징 점령 작전이 정식으로 승인되었다.[17]
2. 1. 중국의 입장
만주사변 이후 일제의 침략이 계속되자, 장제스는 중국공산당과의 협력을 통해 항일전을 준비했다.[374] 1937년 7월 13일, 장제스는 저우언라이 등 중국공산당 최고 지도부와 협상을 맺고 독자적인 사령부 설치를 허가했으며, 중국공산당은 3개 사단 4만 5000명과 중국 북부 요충지 방어를 위한 지방 부대 1만 명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374]상하이 함락 이후, 장제스는 수도 난징을 포기할 경우 중국이 굴욕적으로 비춰질 것을 우려했다.[375] 이에 스탈린에게 지원을 요청하고, 주중 독일 대사 오스카 트라우트만을 통해 일제와의 평화 회담 중재를 요청하는 등 국제사회의 협력을 얻고자 노력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375]
1937년 11월 15일, 장제스는 군사위원회를 소집하여 난징 방어 전략을 수립했다.[18] 장제스는 9개국 조약 회의에서 강대국들의 원조를 얻고, 오스카 트라우트만 독일 대사의 중재로 진행될 평화 회담에서 중국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난징 방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8]
그러나 허잉친, 바이충시, 리쭝런,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등 고위 장교들은 중국군의 회복 시간 부족과 난징의 지형적 방어 어려움을 이유로 반대했다.[18][19][20] 양쯔 강이 퇴로를 막는다는 점도 지적되었다.[19]
장제스는 격앙된 반응을 보였으나, 탕성즈 장군이 장제스를 옹호하면서 탕성즈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난징 수비군을 조직했다.[19] 장제스와 탕성즈는 난징을 "마지막 한 사람까지" 지키겠다고 선언했지만,[21][22] 실제로는 위태로운 상황임을 인지하고 있었다.[19] 장제스는 수도를 충칭으로 이전하고,[23] 탕성즈에게는 상반된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19]
난징 방위군의 총병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총병력 | 출처 | 비고 |
---|---|---|
약 11만 명 (당시 공칭 20만 명) | 제36사단 제108여단 제216단 제1영 영장 오양우[218] | |
15개 사단 (11만~15만 명) | 가사하라 도쿠시[218] | 5만 명 도주[231] |
13개 사단 (14만 1999명) | 쑨자이웨이[234] | |
당초 20개 사단 (함락 당시 8~9개 사단, 10~13만 명) | 제16사단 참모장 나카자와 미쓰오 진중 일지[218] | 당초 1개 사단 5,000명이었으나 1만 명으로 증가 |
당초 7만 명 원군 4만 명 (총 11만 명 이상) | 제78군·제36사단장 쑹시롄[218] | |
약 20개 사단 (10만 명) | 상하이 파견군 참모장 이이누마 마모루 진중 일지 (1937년 12월 17일) | 일본군 격멸 약 5만 명, 해군 및 제10군 격멸 약 3만 명, 그 외 약 2만 명 분산 |
10만 명 이상 (철수 시) | 국민군·류페이, 두위밍, 헌병사령부 전투 상세 보고[218] | 헌병사령부 전투 상세 보고는 이장먼에서 10만 명 이상 퇴출 기록 |
8만 1000명 | 국민군 참모 탄다오핑[236][237] | |
15개 사단 (10만 명 이상) | 쑨자이웨이 (1985년)[233] | 잡병 다수, 신병 4할 |
당초 10만 명 (함락 시 3.5만~5만 명) | 타이완 공표 전사 (친이쿠히코 인용)[228] | |
당초 7만 5000명 (함락 시 약 2만 명) | 1937년 12월 17일 맨체스터 가디언 위클리 | |
65,500~70,500명 | 가이코샤 난징 전사[223] | 전장-단양-둥창제 부근 제외, 군·사단별 병력 합산 추정 |
16개 사단 (약 5만 명) | 뉴욕 타임스 1937년 12월 22일, 1938년 1월 9일, 더딘 기사 | 3만 3,000명 섬멸, 그 중 2만 명 처형. 중국 사단 평균 5,000명 편성(총 8만 명), 심한 타격으로 2~3,000명 편성 |
5만 명 | 12월 10일 이후 미국 대사관 보고 | 함락 전 주요 부대 철수, 인구 80% 도시 탈출 |
5만 명 | 도쿄 재판 판결 | |
퇴각 시 5만 명 | 난징시 문사 자료 연구회 편 (1984년)[238] |
2. 2. 일본의 입장
1931년 만주사변으로 만주국을 세우고 만주를 점령하고 있던 일제는 1937년 중일 전쟁을 일으켜 베이징, 톈진, 상하이를 차례로 점령했다.[376]당초 난징 점령은 일본군의 전략적 목표가 아니었다.[376] 일본군은 상하이라는 중국 최대 항구 도시를 이미 점령했고, 난징 점령은 단지 상징적인 의미만 있을 뿐이었다.[376] 본래 일제는 화베이에서의 지배권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켰다.[376] 그러나 중국의 강한 저항과 장제스가 창장강 하류에서 새로운 전선을 열고 전쟁을 확대하자, 일제는 조기에 중국의 저항 의지를 꺾고자 했다.[376]
하지만 전쟁은 일본의 예상보다 장기화되었고, 특히 상하이를 함락시킬 때 4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376] 이에 일본군 내에서는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으로 진격해야 할지, 아니면 더 이상의 전선 확장을 멈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376]
일본 중지나 방면군 사령관 이와네 마쓰이는 난징 점령이 중국 국민 정부를 붕괴시키고, 일본이 중국과의 전쟁에서 빠르고 완전한 승리를 거둘 수 있다고 확신하며 난징 진격을 주장했다.[13] 제10군 사령관 야나가와 헤이스케 역시 난징 정복을 열망하며, 두 사람은 육군 참모 본부가 부과한 작전 제한선에 불만을 품었다.[12]
결국 11월 19일, 야나가와는 독단적으로 제10군에게 작전 제한선을 넘어 난징으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14] 마쓰이 역시 11월 22일 육군 참모 본부에 "난징을 정복해야 한다"는 긴급 전보를 보냈다.[16]
시모무라 사다무 참모 본부 작전부 부장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마쓰이의 견해에 동조했고, 결국 11월 24일 참모 본부는 난징 공략을 용인하고 작전 제한선을 폐지했다.[12] 12월 1일, 난징 점령 작전이 정식으로 승인되었다.[17]
2. 3. 난징 전투 직전의 상황 (11월~12월 초)
1937년 11월 15일, 일본군 제10군은 군사령관 야나가와 헤이스케 중장 임석 하에 막료회의[379]를 열어 군 주력으로 독단으로 난징 추격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제10군에 할당된 작전 지역을 무단으로 벗어나는 것으로, 군 중앙에 대한 명백한 명령 위반이었다.[14]1937년 11월 18일, 장제스는 탕성즈를 난징 방위군 최고 지휘관으로 임명하였다.[19]
1937년 11월 20일, 일본은 천황 직속 최고 전쟁 지도 기관인 대본영을 설치하였다.[242] 같은 날, 장제스는 수도를 충칭으로 이전한다고 선포했다.[23]
1937년 11월 24일, 일본 중지나 방면군은 참모본부에 “신속하게 사변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적의 퇴세를 틈타 난징 공략을 요한다”라는 의견서를 제출했다.[16] 그러나 참모본부의 다다 하야오 참모차장은 전선 확대를 우려하여 중지나 방면군 참모장에게 난징 방면으로 진격하지 않도록 전보를 보냈다.[376]
1937년 11월 27일, 시모무라 사다무 참모본부 제1부장은 중지나 방면군에 난징 공략 계획을 내부적으로 연락했다.[199]
1937년 11월 28일, 일본 언론은 황군의 난징 진격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다다 하야오 참모차장은 결국 난징 공략에 동의했다.[199]
1937년 12월 1일, 대본영은 중지나 방면군에 난징 공략 명령을 내렸다.[247][242][248]
3. 난징 전투의 전개
난징 수비군은 서류상으로는 독일식 훈련을 받은 정예 사단 3개와 초정예 훈련 여단을 포함한 13개 사단으로 구성된 막강한 군대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하이 전투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어 전력이 크게 약화된 상태였다.[36][37] 병력 부족을 메우기 위해 난징과 주변 지역에서 16,000명의 젊은이들이 급하게 징집되었지만, 이들은 제대로 된 훈련을 받지 못했다.[23][38]
제36사단, 제87사단, 제88사단과 같은 독일식 훈련을 받은 정예 부대 역시 상하이 전투의 여파로 큰 피해를 입어, 12월 당시 병력의 절반이 훈련받지 못한 신병으로 채워져 있었다.[39] 난징 수비군의 정확한 병력 규모에 대해서는 여러 추정이 있지만, 데이비드 애스큐는 73,790명에서 81,500명 사이로 추정했다.[43]
3. 1. 일본군의 진격 (12월 4일 ~ 12월 9일)
1937년 12월 4일, 일본군은 난징 외곽 방어선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중국군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병력, 장비, 훈련 부족으로 열세였다. 설상가상으로 난징 방위군 최고사령관 탕성즈는 병력을 집중시키고 퇴로를 차단하는 전략적 판단 오류를 범해 중국군의 피해를 더욱 키웠다.[19]일본군 제10군은 군사령관 야나가와 헤이스케 중장 임석 하에 막료회의[379]를 열어 난징 추격을 결정했다. 이는 제10군에 할당된 작전지역을 벗어나는 명령 위반이었다.[376]
같은 날, 중국 국민정부군사위원회[380]는 난징에서 최고국방회의를 열어 국민정부를 충칭으로 옮기고, 탕성즈를 난징 방위전 최고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일본군 제10군에서 참모본부로 “난징을 향한 추격을 명령함”이라는 보고가 도착했다. 일본에서는 천황 직속의 최고 전쟁지도기관인 대본영이 설립되었다.
장제스는 수도를 충칭으로 이전하고 난징 성 진지의 진지 공사 개시를 명령하였다.
일본의 중지나방면군은 참모본부에 “난징 공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서를 보냈다. 참모본부의 시모무라 제1부장은 다다 참모차장을 설득하여 중지나방면군의 작전지역 제한 철거를 지시했으나, 다다 참모차장은 전선 확대를 우려하여 난징 방면으로 진격하지 않도록 전보를 보냈다.
12월 6일, 일본의 제16사단과 제9사단은 난징의 행정구 구용현으로, 제114사단은 율수현으로, 제6사단과 구니자키 지대는 고순현으로 돌입하여 난징전구에서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난징 외곽의 방어진지를 거의 점령하고, 난징 성 진지를 향해 공격을 개시했다. 일본군 부대와 난징 방위군 외곽 수비대 사이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한편, 장강을 거슬러 온 일본 해군의 함정들이 난징의 배후를 차단했고, 일본 폭격기들은 난징 시가지를 폭격했다. 중국 공군기도 이에 맞서며 난징 상공에서는 수십 대의 전투기들이 뒤엉켜 공중전을 벌였다.[23]
12월 7일 아침, 장제스 부부는 측근과 함께 비행기를 타고 난징을 빠져나갔다.[382]
12월 8일, 일본군은 난징 성 인근 조룡산-막부산-자금산-우화대의 진지 인근으로 접근하여 포위망을 형성하였고, 난징 방위군에게 투항 권고문을 난징 성 내 8곳에 투하했다.
3. 2. 난징 공방전 (12월 9일 ~ 12월 13일)
12월 9일, 일본군은 난징 성 내에 투항 권고문을 투하했다.[382] 그러나 남경방위군 사령관 탕성즈는 투항을 거부하고 결사항전 의지를 표명했다. 그는 "본군은 복곽진지에서 남경고수 최후의 전투에 몰입했다. 각 부대는 진지와 존망을 함께 하기로 결심하고, 사수하기 위해 전력투구하라"고 명령하며, 지시 없이 진지를 포기하는 자는 군법에 따라 엄벌에 처한다고 밝혔다.[382]
12월 10일 오후 1시, 마쓰이 이와네 중지나 방면군 사령관은 난징 성 총공격을 명령했다. 일본 육군의 총공격과 함께 해군 항공대의 폭격으로 난징 성 공방전이 시작되었다.[382]
12월 12일, 장제스로부터 철수 명령이 내려졌고, 탕성즈는 하루 뒤에 철수를 실시하겠다는 철수 명령을 작성했다.[382]
같은 날, 일본군은 난징 성의 사방을 완전히 포위하고 맹공을 퍼부었다. 난징 성의 중화문 서측, 중산문 남측 성벽이 파괴되고 일본군이 성벽을 점령한 뒤 성내로 진입했다. 일본군은 독가스를 넣은 포탄을 중국군 진지에 발사하며 중국군의 방어선을 무너뜨렸다. 이로 인해 남경방위군 내에서는 전투에 패배하여 도망가거나 퇴각하는 병사들이 많아졌고, 지휘 체계가 무너지면서 혼란이 발생했다. 남경방위대 사령부 간부들은 병사들을 두고 먼저 탈출했고, 이는 병사들의 퇴각을 더욱 가속화시켰다.[382]
병사들은 배낭, 탄약, 벨트, 소총, 수류탄, 군복 등을 벗어던지고 도주하기 시작했고, 성내 주민들은 식량과 침구류 등을 짊어지고 퇴각하는 부대 뒤를 쫓아 난징 탈출을 시도했다. 해가 질 무렵, 수많은 병사와 피란민들이 읍강문을 향하는 도로를 가득 메웠다. 읍강문 앞에는 남경방위군 36사단 부대가 탕성즈의 명령을 받아 퇴각 부대의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진을 치고 있었는데, 이들은 도강을 시도하는 병사들을 무력으로 저지했고, 그 과정에서 서로 총격전을 벌이는 비극적인 상황이 발생했다.[382]
병사들이 퇴각하는 주요 간선도로인 중산로에서 불과 몇 야드 떨어진 교통부 청사에 방화했을 때, 그곳은 탄약고로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불이 포탄, 폭탄 창고에 이르렀을 때 큰 폭발이 일어났다. 총탄과 포탄 파편이 사방으로 흩어져 강가에 이르는 도로를 배회하는 군중의 공포와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타오르는 청사는 거대한 불길에 휩싸여 엄청난 열을 뿜어냈고, 공포에 빠진 군중은 걸음을 멈추고 교통이 정체되었다. 트럭, 대포, 오토바이 등과 말이 끄는 수레가 뒤엉키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졌다.[382]

그러나 부두에는 사령장관부를 중심으로 일부 부대가 철수하기 위해 선박을 사용했기 때문에 더 이상 장강을 건널 수 있는 선박이 남아있지 않았다. 일본군에게 몰렸다는 공포감에 휩싸인 수만 명의 군인과 피란민들은 뗏목, 통나무, 판자 부스러기에 몸을 의지하여 1.5킬로미터 폭의 장강을 건너려 했다. 밤이 되자 기온은 영하로 떨어지고 장강의 수온은 얼음처럼 차가웠다. 장강을 건너는 대부분은 물살에 휩쓸리거나 추위로 체력이 고갈되어 가라앉았다.[382]

12월 13일 자정이 지나자 성 일대의 포성과 총성이 멈추고 난징의 전장은 정적에 빠졌다. 남경방위군의 모든 조직적인 저항은 와해되었고, 오후 4시 일본군 제16사단이 난징 정부 청사를 점령하고 욱일기를 게양했다. 난징 성은 함락되었다.[382]
4. 난징 전투의 결말
중앙군의 정식 명령 없이 중지나방면군, 상해파견군, 일본군 제10군 상급 지휘관들의 야심으로 난징 진격이 시작되었다. 일본 대중매체는 "난징 성에 일장기가 휘날릴 때까지"라는 보도전투를 벌여 국민들의 전의를 고양시켰다. 연일 "황군의 연전연승"이라는 첩보가 보도되면서, 국민들의 승전•축하 분위기가 과열되었다. 11월 28일, 난징 공략을 강하게 반대했던 다다 참모차장도 결국 난징 공략에 동의하게 되었다.[381]
자정이 지나자 성 일대의 포성과 총성이 멈추고, 난징은 정적에 빠졌다. 남경방위군의 모든 조직적인 저항은 와해되었고, 오후 4시 일본군 제16사단이 난징 정부 청사를 점령하고 일장기를 내걸었다. 이로써 난징 성은 함락되었다.
난징 전투 종료 후, 마쓰이 이와네 대장은 난징 시가지에서 군대를 행진시키며 승전 퍼레이드를 벌였다.
12월 초, 일본 중지나 방면군은 병력이 16만 명 이상으로 늘어났지만,[55] 실제 전투에 참여한 병력은 약 7만 명에 불과했다.[56] 일본군은 "포위 섬멸"이라 부르는 포위 공격을 난징 공격 계획으로 삼았다.[54][57] 중지나 방면군은 동쪽에서 난징으로 진격하는 상하이 파견군(SEA)과 남쪽에서 진격하는 제10군으로 포위 공격을 구성했다. 난징 북쪽과 서쪽에는 양쯔 강이 있었지만, 일본군은 강을 따라 함대를 파견하고 2개 특별 부대를 배치하여 도시 뒤쪽으로 우회, 도주로를 차단할 계획이었다.[58]
12월 9일, 일본군은 중국군에 항복을 권고했으나, 중국군은 거부하고 결사항전을 다짐했다. 12월 10일 정오까지 답변이 없자, 오후 1시 일본군은 총공격을 시작했다.[201][261]
12월 12일, 탕성즈는 전군에 포위 돌파를 지령하고,[201] 자신은 양쯔강 좌안으로 도주했다.[278] 이 도주 계획은 참모 본부 장교에게조차 알려지지 않았다.[278] 양쯔강에 의해 퇴로가 막힌 중국군은 혼란에 빠졌고,[252][279] 읍강문, 하관 일대에 몰려 배를 구하려 쇄도했다.[280] 탕성즈는 진지 사수를 명하고 양쯔강 무단 도하를 엄금, 위반자는 무력 제압을 지시했기에 아군끼리 싸움이 벌어졌다.[252] 이 시점에 탕 장군은 이미 도주한 상태였다. 북부 장강으로 통하는 읍강문에는 독전대가 설치되어 철수하는 중국군과 아군 간 교전이 벌어졌다(읍강문 사건).[281]
4. 1. 난징 대학살


난징 전투 이후, 일본군은 중국군 포로와 난징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학살, 강간, 약탈을 자행했다.[387] 이는 만국평화회의에 따라 군대의 형태와 전의를 상실한 패잔병에게 투항을 권고하고 포로로 대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이 이들을 몰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명백한 전쟁범죄이다.[386]
일본군은 중국인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살인을 저질렀다. 사람들을 밧줄로 묶어 기관총으로 사격하고 불태웠으며, 생매장하거나 군견의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차가운 호수에 던져 얼어 죽게 하거나, 총검 훈련의 표적으로 삼는 등 잔혹한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384] 심지어 수족을 절단하고 배를 갈라 창자를 꺼내거나, 눈알을 파내는 등의 만행도 저질렀다.[384]
여성들은 연령, 임신 여부와 관계없이 일본군의 성폭력 대상이 되었다. 강간 후 살해는 물론, 음부에 막대기를 쑤셔 넣거나 임산부의 배를 갈라 태아를 꺼내는 등의 끔찍한 범죄가 자행되었다.[384] 또한, 일본군은 '위안소'를 설치하여 여성들을 '공중화장실'이라 부르며 성노예로 삼았다.[384]
일본군은 난징 함락 다음 날인 12월 14일, "각 부대는 담당 지역을 소탕해 중국 병사를 격멸하라. 각 부대는 사단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포로를 받지 마라"는 명령을 내렸다.[386] 히로히토 천황의 숙부이자 상해파견군 사령관인 아사카 야스히코 친왕은 "모든 포로를 죽여라"라는 비밀 명령을 내렸고,[387] 12월 13일부터 6주 동안 약 30만 명의 중국군 포로와 주민들이 학살, 강간, 약탈의 희생양이 되었다.[387]
일본군의 잔혹 행위는 신병들마저 살인 기계로 만들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에 온 도미나가 쇼조 소위는 부하들의 눈빛이 "사람의 눈이 아니라 표범이나 호랑이 같은 맹수의 눈"과 같았다고 회고했다.[388] 그러나 그 역시 점차 살인에 익숙해졌고, "착한 아들, 훌륭한 아버지, 다정한 오빠였던 사람들이 전장에 나와서는 양심의 가책 없이 다른 사람들을 죽인다. 살인마로 변해 가는 것이다."라고 기록했다.[389]
난징 전투는 일본군에게는 승리였지만, 그들에게서 인간성은 사라졌다. 전쟁은 일본군과 중국인 모두에게 지옥과 같은 고통을 안겨주었다.
4. 2. 탕성즈의 말로
난징 함락 후, 탕성즈는 우한으로 돌아왔으나 패전의 책임을 지고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다.[383] 그는 고향에서 한동안 은거하다 국공 내전 말기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공산군이 후난 성을 무혈 점령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383] 이후 후난성 부주석과 국방위원회 위원 등을 맡았으나, 문화대혁명이 일어나자 우익으로 몰려 모든 직위에서 쫓겨났고 어린 홍위병들에게 구타당한 후 비참하게 병사하였다.[383]5. 평가
난징 전투에서 일본군은 전략적으로는 승리했지만, 여러 문제점을 노출했다. 상하이에서 난징으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이미 지쳐있던 일본군은 중국군의 즉흥적이고 급하게 건설된 방어선과 병력 집중 전략으로 인해 고전했다.[9][74][75]
일본군은 제해권, 전차, 그리고 중국군의 방어 전략상 약점을 이용해 승리할 수 있었다.[9][74][75] 틸먼 더딘은 일본군이 원뿔 모양 봉우리에 있던 제83군 소속 중국군 300여 명을 포위, 불을 질러 몰살한 사례를 보도하며 일본군의 잔혹함을 보여주었다.[76]
5. 1. 중국에 대한 평가
장제스의 철수 명령에 따라, 탕성즈는 하루 뒤 철수를 실시하겠다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일본군은 이미 난징 성을 사방으로 포위하고 맹공을 퍼붓고 있었다. 중화문 서측과 중산문 남측 성벽이 파괴되면서 일본군이 성 안으로 진입, 독가스를 넣은 포탄을 발사해 중국군의 방어선을 무너뜨렸다. 이로 인해 난징방위군 내에서는 도망과 퇴각이 속출하며 혼란이 일어났다.일주일 간의 전투에서 난징방위대는 병력, 질, 무기 등 모든 면에서 열세였음에도 용감하게 싸웠다. 반면, 일본군은 쉽게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고전을 면치 못했다. 많은 중국 고위 지휘관들이 난징과 운명을 같이 했으나, 탕성즈는 부하들을 버리고 도주했다.[383]
탕성즈는 난징방위대 사령관으로서 끝까지 난징을 사수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실제로는 무능한 지휘로 병력을 제대로 이끌지 못했다. 난징방위대 병력 대부분은 상하이에서 온 패잔병, 헌병, 경찰, 비정규군, 노무자 등으로 구성된 오합지졸이었으며, 체계적인 훈련도 받지 못한 상태였다.
탕성즈는 난징 교외의 주택과 건물을 모두 불태우고 병력을 성 안에 배치하는 전략을 택했다. 그러나 13미터 두께, 25미터 높이의 난징 성벽도 현대식 중포, 전차, 항공 포격 앞에서는 무용지물이었다. 오히려 성 안에 모든 병력을 배치한 것은 스스로를 가두는 꼴이 되었고, 일본군의 포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만약 탕성즈가 난징 성 주변의 유리한 방어 거점을 활용해 지연 전술과 유격전을 펼쳤다면, 보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일본군은 고전했을 것이다.
또한 탕성즈는 난징 성 뒤쪽의 다리와 선착장의 배를 모두 파괴해 결사항전 의지를 보였지만, 이는 전투에서 패배한 병사들과 주민들의 퇴로를 막는 결과를 초래했다. 중국군이 서로에게 총격을 가하고, 무고한 주민들이 위험에 빠지는 비극이 벌어졌다. 반면 탕성즈를 비롯한 지휘부는 병력을 끝까지 지휘하지 않고 남아있는 배로 먼저 탈출했고, 이로 인해 난징방위군의 지휘 체계는 완전히 무너졌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탕성즈는 무능하고 비열한 지휘로 수많은 난징방위군과 주민들을 죽음에 몰아넣었으며, 난징 대학살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를 방조했다고 볼 수 있다.
5. 2. 일본에 대한 평가
난징 전투에서 일본군은 전략적으로 승리했지만, 난징 대학살로 인해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391] 일본군은 난징 점령 과정에서 포로와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학살, 강간, 약탈을 자행했다.[387]조너선 펜비|조너선 펜비중국어의 「장제스 평전|장제스 평전중국어」에 따르면, 일본군은 중국인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학살을 자행했다. 사람들을 묶어 기관총으로 사격하고 불태웠으며, 생매장하거나 군견의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중국인을 총검 훈련에 사용하고, 신체를 절단하거나 산을 뿌리는 등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 여성들은 연령, 임신 여부와 관계없이 강간당하고 살해되었으며, 일부는 '위안소'로 끌려가 성노예 생활을 강요받았다.[384]
뉴욕 타임스는 일본군이 민간인, 소방관, 경찰관 등 무고한 사람들을 사살했다고 보도했다.[385] 일본군은 현지 징발을 통해 식량을 확보했는데, 이는 약탈의 형태로 이루어졌고, 포로들에게는 식량이 제공되지 않아 살해되었다.[386] 히로히토 천황의 숙부이자 상해파견군 사령관 아사카 야스히코 친왕은 "모든 포로를 죽여라"라는 비밀 명령을 내렸고, 이는 포로뿐만 아니라 민간인 학살로 이어졌다.[387]
일본군은 전쟁으로 인해 극도로 흥분된 상태였고, 도덕적 절제력을 잃었다.[388] 신병과 젊은 장교들은 3개월 만에 살인 기계, 악마로 변해갔다.[389]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에 온 도미나가 쇼조|도미나가 쇼조일본어 소위는 부하들의 눈빛이 악마와 같았다고 회상했다.[388] 노다 쓰요시 소위와 무카이 도시아키 소위는 '100인 목 베기' 시합을 벌이기도 했다.[390]
이러한 잔혹 행위로 인해 일본군은 국제 사회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나치 전범들이 전범 재판에서 처벌받거나 도망자 신세로 살아가는 것과 달리, 일본의 전범들은 일본 정부의 비호 아래 평화롭게 살고 있다.[391]
6. 대중 매체에서의 난징 전투
루 추안 감독의 2009년 영화 《난징! 난징!》은 난징 전투와 난징 대학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흑백영화이다. 특히 영화 앞부분에서 난징 전투에서 패배하고 도망치는 병사들과 그들을 막는 병사들 간의 유혈 충돌, 그리고 일본군의 폭력적인 장면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플로리안 갈렌바르거 감독의 2014년 영화 《존 라베- 난징 대학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지멘스사 지사장으로 중국에 파견되어 수력발전 설비를 운영하던 존 라베의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이다. 존 라베가 중국에서 수력발전 설비를 운영하던 중 일본이 만주를 점령하고, 지멘스사는 그에게 본국으로 돌아오라고 하지만, 존 라베의 환송식이 있던 날 일본군의 공습이 시작된다. 존 라베는 중국인 직원들을 회사 안으로 피신시키고, 동맹국인 일본의 잔인한 살상에 맞서 안전지대를 만들어 중국인들을 살리기 위해 노력한다.[392]
장이머우 감독의 2013년 영화 《진링의 13소녀》는 잉글먼 신부의 장례를 위해 본국에서 온 장의사 존이 성당에서 수녀원 학교 소녀 13명과 부상당한 중국군들을 돌보는 과정에서 존의 눈에 비치는 일본군의 만행을 고발하는 영화이다. 1937년 12월 13일, 일본이 중국 대륙을 침략한 후 난징에 입성하자 중국 대륙은 무자비한 살육이 벌어지는 죽음의 땅이 되어간다. 이 시기 난징의 윈체스터 대성당에는 피난을 떠나지 못한 수녀원 학교 소녀 13명이 남아 잉글먼 신부의 장례를 위해 장의사를 기다리고 있다. 장의사 존이 죽을 고비를 넘기고 성당에 도착하고, 일본군의 총칼을 피해 술집 여인들과 중국군 부상병들까지 성당에 숨어들면서 위태로운 동거가 시작된다. 제네바 조약으로 안전지대로 보호받아야 할 성당까지 무력으로 위협하는 일본군의 만행에 존은 분노를 느낀다.[393]
참조
[1]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Publishers
[2]
학술지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3]
서적
Nanking Incident
[4]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W. W. Norton & Company
2020-01-01
[5]
학술지
http://jds.cass.cn/U[...]
2017-04-14
[6]
서적
Shanghai and Nanjing 1937: Massacre on the Yangtze
Osprey Publishing
2017-01-01
[7]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8]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Belknap Press
[9]
서적
The Battle for China: Essays o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of 1937–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Iwanami Shoten
[11]
서적
Iwanami Shoten
[12]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3]
서적
Iwanami Shoten
[14]
서적
Iwanami Shoten
[15]
서적
Chuo Koron Shinsha
[16]
서적
Asagumo Shinbunsha
[17]
서적
Asagumo Shinbunsha
[18]
서적
Iwanami Shoten
[19]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20]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Belknap Press
[21]
웹사이트
Introduction – From Marco Polo Bridge to Nanking
http://thenankingmas[...]
The Nanking Massacre
2015-07-19
[22]
웹사이트
Fall of Nanking – What Foreign Journalists Witnessed
http://thenankingmas[...]
The Nanking Massacre
2015-07-19
[23]
서적
Iwanami Shoten
[24]
뉴스
88年前,镇江有一座"句容飞机场",它的前世今生很传奇……_手机网易网
https://3g.163.com/n[...]
2020-10-05
[25]
웹사이트
Chinese Air Force vs. The Empire of Japan
https://www.warbirdf[...]
2020-10-31
[26]
학술지
Banseisha
[27]
뉴스
Japanese Reach Nanking
The New York Times
1937-12-07
[28]
뉴스
Invaders Checked by Many Defenses in Nanking's Walls
The New York Times
1937-12-12
[29]
뉴스
Chinese Fight Foe Outside Nanking
The New York Times
1937-12-08
[30]
서적
Bungei Shunju
[31]
서적
The Sino-Japanese War, 1937–41: From Marco Polo Bridge to Pearl Harbor
Macmillan
[32]
학술지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33]
뉴스
Nanking Prepares to Resist Attack
The New York Times
1937-12-01
[34]
서적
Bungei Shunju
[35]
서적
Nihon Tosho Kankokai
[36]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37]
서적
本当はこうだった南京事件
Nihon Tosho Kankokai
[38]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39]
서적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Sino-Japanese Studies
2003
[40]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41]
서적
為政略殉: 論抗戰初期京滬地區作戰
Guoli Taiwan Daxue Zhuban Weiyuanhui
[42]
논문
The Nanking Atrocities: Fact and Fable
1998-08
[43]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44]
서적
Nanking :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2000
[45]
서적
南京事件
Iwanami Shoten
[46]
웹사이트
Wong Sun-sui
https://ww2db.com/pe[...]
[47]
웹사이트
Chinese biplane fighter aces - Kao Chi-Hang
http://surfcity.kund[...]
2020-09-11
[48]
웹사이트
Gao Zhihang
https://ww2db.com/pe[...]
2020-09-11
[49]
서적
南京事件
Iwanami Shoten
[50]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51]
논문
Wie wir aus Nanking flüchteten: Die letzten Tage in der Haupstadt Chinas
1937-12-19
[52]
논문
Westerners in Occupied Nanking
Berghahn Books
[53]
서적
Forgotten Ally: China's World War II
Hughton Mifflin Harcourt
[54]
서적
南京事件
Iwanami Shoten
[55]
논문
The Nanking Atrocity: An Interpretive Overview
Berghahn Books
[56]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57]
논문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the Rape of Nanking
unpublished Ph.D. thesis
[58]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59]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60]
서적
Yangshupu Yunzaobin zhandou
[61]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62]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63]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64]
서적
Dijiu Shituan zhanshi
[65]
서적
Riben qinhuashi yanjiu
2014
[66]
서적
Riben qinhuashi yanjiu
2014
[67]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68]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69]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70]
서적
Nanjing baoweizhan
1987
[71]
서적
NBZ
[72]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73]
학술지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
[74]
서적
The Battle for China: Essays o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of 1937–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75]
뉴스
Japanese Atrocities Marked Fall of Nanking
The New York Times
1938-01-09
[76]
뉴스
The New York Times
1937-12-09
[77]
서적
The Nanking Atrocity, 1937–38: Complicating the Picture
Berghahn Books
[78]
서적
Iwanami Shoten
[79]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80]
학술지
Kinseisha
[81]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82]
서적
The World's Bloodiest History
2009
[83]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84]
서적
Japanese Terror in China
Books for Libraries Press
[85]
서적
Honda
[86]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87]
서적
Nishizawa
[88]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89]
서적
Shanghai 1937, Stalingrad on the Yangtze
Casemate
2013
[90]
서적
The making of the "Rape of Nanking
2006
[91]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92]
서적
Bungei Shunju
[93]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94]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95]
서적
Nihon Tosho Kankokai
[96]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97]
서적
Nanjing Baoweizhan dangan
2018
[98]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2000
[99]
서적
The Battle for Purple Mountain
[100]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01]
서적
Iwanami Shoten
[102]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03]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04]
서적
Bungei Shunju
[105]
서적
Kojinsha
[106]
웹사이트
http://www.njrd.gov.[...]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Nanjing
[107]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08]
서적
Kojinsha
[109]
서적
Bungei Shunju
[110]
서적
南京戦史
Kaikosha
[111]
서적
Bungei Shunju
[112]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13]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14]
서적
Nanjing weishuzhan
[115]
서적
Bungei Shunju
[116]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17]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118]
서적
Bungei Shunju
[119]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20]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121]
서적
History of Sabae 36th Regiment
[122]
서적
Iwanami Shoten
[123]
서적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China He Lost
Free Press
[124]
뉴스
Nanking Invested
The New York Times
1937-12-13
[125]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26]
서적
Bungei Shunju
[127]
서적
Iwanami Shoten
[128]
서적
Iwanami Shoten
[129]
서적
Kojinsha
[130]
뉴스
All Captives Slain
The New York Times
1937-12-18
[131]
서적
Bungei Shunju
[132]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33]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34]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135]
서적
A History of the Nanjing Massacre
Gale
2018
[136]
논문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137]
논문
Defense Battle at Nanking
https://www.republic[...]
[138]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139]
서적
Iwanami Shoten
[140]
뉴스
Panic of Chinese in Capture of Nanking
Chicago Daily News
1938-02-03
[141]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42]
서적
ja:日中戦争(3)
Bungei Shunju
[143]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44]
뉴스
March of Victory into Nanking Set
The New York Times
1937-12-16
[145]
서적
ja:日中戦争(3)
Bungei Shunju
[146]
서적
騎兵・搜索第二聯隊戦史
Kihei Sosaku Daini Rentai Senyukai
[147]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48]
서적
Eyewitnesses to Massacre
[149]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50]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51]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52]
서적
Forgotten Ally: China's World War II, 1937-1945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153]
서적
Shanghai and Nanjing 1937: Massacre on the Yangtze
Osprey Publishing
2017
[154]
학술지
zh:南京大屠杀遇难同胞中究竟有多少军人
http://jds.cass.cn/U[...]
2014-12-16
[155]
웹사이트
HyperWar: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Far East (Chapter 8) (Paragraph 2, p. 1015, Judgment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Far East)
http://www.ibiblio.o[...]
2016-10-27
[156]
서적
Missionary Eyewitnesses to the Nanking Massacre, 1937-1938
Connecticut: Yale Divinity Library Occasional Publications
[157]
서적
Leftover Problems
Berghahn Books
[158]
웹사이트
Picking at the Wound: Nanjing, 1937–38
http://www.japaneses[...]
Electronic Journal of Contemporary Japanese Studies
2016-10-27
[159]
서적
ja:戦史叢書: 支那事変陸軍作戦(1)
Asagumo Shinbunsha
[160]
서적
Westerners in Occupied Nanking
Berghahn Books
[161]
학술지
The Scale of Japanese Atrocities in Nanjing: An Examination of the Burial Records
2004-06
[162]
학술지
Defending Nanking: An Examination of the Capital Garrison Forces
2003-04-15
[163]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64]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65]
서적
Shanghai and Nanjing 1937: Massacre on the Yangtze
Osprey Publishing
2017
[166]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67]
서적
Chiang Kai-shek’s Central Army, 1924–1938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168]
뉴스
The New York Times
1938-01-09
[169]
뉴스
The New York Times
1937-11-27
[170]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71]
서적
Nanjing 1937: Battle for a Doomed City
Casemate
2015
[172]
서적
The Making of the "Rape of Nanking"
Oxford University Press
[173]
서적
ja:南京事件
Iwanami Shoten
[174]
서적
China and Japan at War, 1937–1945: The Politics of Collabor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75]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76]
서적
ja:南京事件
Iwanami Shoten
[177]
잡지
ja:永久保存版 – 三派合同 大アンケート
2001-02-00
[178]
서적
Nanking: Anatomy of an Atrocity
Praeger
[179]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China 1924–1949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0]
서적
The Making of the "Rape of Nanking"
Oxford University Press
[181]
서적
ja:南京事件
Iwanami Shoten
[182]
서적
ja:日中戦争(3)
Bungei Shunju
[183]
서적
The Marco Polo Bridge Incident 1937
Columbia University Press
[184]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perCollins Publishers
[185]
서적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1937–1945)
Chung Wu
[186]
서적
Chiang Kai-shek: His Life and Times
St. John's University
[187]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Belknap Press
[188]
간행물
民国档案
[189]
백과사전
大日本百科事典
小学館
[190]
서적
上海南京保衛戰
麦田出版
[191]
서적
戦史叢書 中国方面海軍作戦1
[192]
서적
新版 日中戦争
中公新書
[193]
서적
新版 日中戦争
中公新書
[194]
서적
中華民国史稿 (修訂版)
聯經
[195]
서적
抗日戦争八年
早稲田出版
[196]
논문
第二次上海事変(1937年)をめぐる研究動向
東洋英和女学院大学現代史研究所
2010-03
[197]
서적
抗戦史論
東大図書公司
[198]
서적
新版 日中戦争
中公新書
[199]
잡지
証言による南京戦史(1)
偕行社
1984-04
[200]
서적
昭和陸軍全史2
講談社
[201]
웹사이트
日中歴史共同研究2010
https://www.mofa.go.[...]
[202]
잡지
証言による南京戦史(2)
偕行社
1984-05
[203]
간행물
抗戦簡史
中華民国国防部史政処
[204]
서적
南京大虐殺のまぼろし
[205]
서적
南京事件―「虐殺」の構造 増補版
中公新書
[206]
서적
南京戦史資料集I
偕行社
1993-12-08
[207]
서적
南京事件
[208]
문서
国民党第三戦区作戦経過概要・南京会戦
[209]
문서
陸軍第78軍南京戦役戦闘詳報
[210]
문서
南京保衛戦的回想
[211]
서적
蔣介石鉄衛隊 ― 教導総隊
[212]
문서
憲兵司令部在京抗戦部隊之戦闘詳報
[213]
문서
抗戦初期的南京保衛戦
[214]
문서
南京保衛戦中的戦車部隊
[215]
문서
南守城戦
[216]
문서
回憶一九三七年唐生智衛戍南京之戦
[217]
문서
南京保衛戦側記
[218]
서적
南京大虐殺の研究
晩聲社
[219]
문서
飯沼守少将陣中日誌
1937-12-17
[220]
서적
南京事件資料集 アメリカ関係資料編
[221]
서적
日中戦争史資料集9 英文関係資料編
1937-12-22, 1938-01-09
[222]
서적
南京戦史
1989
[223]
서적
南京戦史
偕行社
1989
[224]
서적
南京事件資料集アメリカ関係資料編
[225]
서적
日中戦争史資料集8 極東国際軍事裁判資料編
[226]
서적
証言・南京大虐殺
青木書店
1984
[227]
문서
評唐生智在保衛戦中的功過
1985-11
[228]
서적
南京事件
中公新書
2007
[229]
문서
南京保衛戦双方兵力的研究
江蘇省史学会
1988
[230]
서적
南京戦史
1989
[231]
서적
南京事件
岩波新書
[232]
문서
南守城戦, 回憶一九三七年唐生智衛戍南京之戦
[233]
서적
評唐生智在保衛戦中的功過, 南京事件を考える
大月書店
1985
[234]
서적
南京大虐殺の現場へ
朝日新聞社
[235]
서적
図説 日中戦争
河出書房
2000
[236]
서적
南京衛戍戦史話
東南出版文化社
1946
[237]
웹사이트
南京虐殺(7-1) 殺害数の上限を知っておくために(その1)
http://home.att.ne.j[...]
2016-09-30
[238]
서적
証言・南京大虐殺
青木書店
1984
[239]
서적
支那事変陸軍作戦<1>昭和十三年一月まで
戦史叢書
[240]
서적
歩兵第六聯隊歴史
歩六史刊行会事務局
1968
[241]
서적
為政略殉-論抗戰初期京滬地區作戰
台大出版委員會
1992
[242]
웹사이트
日中歴史共同研究中国側論文(和訳)
https://www.mofa.go.[...]
日中歴史共同研究
2010
[243]
서적
徐永昌日記, 新・南京大虐殺のまぼろし
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244]
서적
揭開民國史的真相
風雲時代
2009
[245]
서적
抗戰畫史
力行書局
1969
[246]
서적
抗戰畫史
力行書局
1969
[247]
간행물
支那事変陸軍作戦<1>昭和十三年一月まで
戦史叢書
[248]
서적
中国事変陸軍作戦史
中華書局
1979
[249]
서적
中華民國建國史
[250]
서적
南京の真実
講談社
[251]
서적
南京事件
1997
[252]
웹사이트
日中歴史共同研究2010
https://www.mofa.go.[...]
[253]
서적
南京事件
1997
[254]
뉴스
(뉴욕타임즈 기사)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07
[255]
뉴스
(중국 신문 보도 인용 기사)
東京日日新聞
1937-12-08
[256]
뉴스
スパイ嫌疑で二千名銃殺 敗戦支那の苦悶する姿
東京東洋文化協会
1937-12-01
[257]
간행물
支那事変陸軍作戦<1>昭和十三年一月まで
戦史叢書
[258]
서적
南京戦史
偕行社
1989
[259]
서적
南京事件
1997
[260]
간행물
証言による南京戦史(4)
偕行社
1984-07
[261]
서적
南京事件
1997
[262]
뉴스
東京日日新開
1937-12-08
[263]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08
[264]
간행물
支那事変陸軍作戦<1>昭和十三年一月まで
戦史叢書
[265]
뉴스
N.Y.Times
1937-12-09
[266]
간행물
証言による南京戦史(3)
偕行社
1984-06
[267]
서적
南京戦史
[268]
웹사이트
DIARY OF WILHELMINA VAUTRIN 1937-1940
http://www.library.y[...]
1937-12-09
[269]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10
[270]
서적
新「南京大虐殺」のまぼろし
[271]
서적
時事年鑑・昭和14年版
社団法人・同盟通信社
1938
[272]
간행물
歩兵第36聯隊第12中隊陣中日誌
[273]
간행물
支那事変画報 大阪毎日・東京日日特派員撮影 第15集
毎日新聞
1937-12-11
[274]
서적
南京事件
1997
[275]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12
[276]
웹사이트
公文書による日米交渉 パネー号事件と日米関係
https://www.jacar.go[...]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7]
논문
The Panay Incident: Prelude to Pearl Harbor
1967
[278]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8-01-09
[279]
서적
南京大屠殺
[280]
문서
宋希濂の回想録
[281]
서적
笠原 (1997)
[282]
웹사이트
Minnie Vautrin’s Diary
http://web.library.y[...]
[283]
서적
南京大虐殺 歴史改竄派の敗北―李秀英 名誉毀損裁判から未来へ
教育史料出版会
[284]
서적
南京の真実
1937-12-13
[285]
서적
南京戦史資料集Ⅰ
[286]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偕行社
1989
[287]
서적
1998
[288]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289]
서적
南京の真実
1997
[290]
서적
南京戦史資料集2
偕行社
[291]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12-15
[292]
서적
参戦勇士九人が語る「南京事件」の真実
[293]
서적
2007
[294]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295]
서적
南京戦史
[296]
서적
南京事件資料集 1アメリカ関係資料編
1937-12-15
[297]
서적
支那事変陸軍作戦1
[298]
서적
南京難民区百日
岩波書店
1995
[299]
서적
南京大虐殺
1992
[300]
서적
南京大虐殺否定論 13のウソ
柏書房
[301]
서적
南京の真実
1937-12-16
[302]
간행물
アサヒグラフ
1938-01-05
[303]
서적
日本占領下の北京における文化人― 銭稲孫と周作人を中心に―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
2012
[304]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17
[305]
서적
南京の真実
1937-12-16
[306]
간행물
支那事変写真全集 <中>
朝日新聞
1938
[307]
간행물
支那事変画報 大阪毎日・東京日日特派員撮影 第15集
毎日新聞
1938-01-11
[308]
서적
映画字幕五十年
早川書房
1985
[309]
서적
支那事変陸軍作戦<1>昭和十三年一月まで
[310]
서적
南京の真実
1937-12-21
[311]
뉴스
NANKING'S NEW RULERS ; AUTONOMOUS COMMISSION SET UP
https://news.google.[...]
THE TIMES
1937-12-24
[312]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年鑑 1938年版(Encyclopaedia Britannica Book of The Year 1938)
1938
[313]
서적
南京の真実
講談社
1997
[314]
서적
天理難容―美国伝教師眼中的南京大屠殺(1937-1938)
南京大学出版社
1999
[315]
일기
1937-12-24
[316]
뉴스
Report from the China Press in Shanghai
大陸報(チャイナプレス),ニューヨークタイムス
1938-01-25
[317]
서적
南京虐殺の徹底検証
[318]
간행물
支那事変陸軍作戦<1>昭和十三年一月まで
戦史叢書
[319]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12-16
[320]
간행물
アサヒグラフ
朝日新聞
1938-01-26
[321]
서적
日中戦争南京大残虐事件資料集 第1巻 極東国際軍事裁判関係資料編
[322]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323]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偕行社
1938-01-04
[324]
서적
南京戦史(増補改訂版)
[325]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偕行社
1989
[326]
뉴스
大陸報,ザ・ノースチャイナ・デイリーニュース
1938-02-08
[327]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1938-02-07
[328]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1938-02-07
[329]
서적
南京戦史
[330]
뉴스
皇軍の名を騙り 南京で掠奪暴行 不逞支那人一味捕る
大阪朝日新聞,日本「南京」学会会報
1938-02-17
[331]
뉴스
大阪朝日新聞
1938-04-05
[332]
서적
南京戦史
1989
[333]
간행물
戦史叢書
[334]
서적
時事年鑑・昭和14年版
同盟通信社
1939
[335]
서적
南京戦史
1989
[336]
서적
南京戦史
1989
[337]
서적
時事年鑑・昭和14年版
同盟通信社
1938
[338]
뉴스
朝日新聞
1937-12-30
[339]
간행물
支那事変陸軍作戦 1
防衛庁防衛研修所戦史室
[340]
서적
南京戦史 (1993)
[341]
위키소스
War Damage in the Nanking area Dec. 1937 to Mar. 1938
[342]
서적
南京戦史
1989
[343]
서적
南京戦史
1989
[344]
문서
第114師団歩兵第66連隊第1大隊戦闘詳報
[345]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346]
서적
佐々木少将私記
[347]
서적
牧原日記
[348]
문서
第4中隊陣中日誌
[349]
문서
第9師団作戦記録概要
[350]
문서
歩兵第7聯隊戦闘詳報
[351]
문서
第1中隊戦闘詳報
[352]
서적
戦史叢書
[353]
문서
第6師団戦時旬報
[354]
문서
第2大隊戦闘詳報
[355]
문서
歩兵第38聯隊戦闘詳報
[356]
서적
佐々木少将私記
[357]
문서
第9旅団戦闘詳報
[358]
문서
歩兵第41連隊第12中隊戦闘詳報
[359]
문서
第1大隊戦闘詳報
[360]
문서
第3大隊戦闘詳報
[361]
서적
革命とナショナリズム 1925-1945 シリーズ中国近現代史3
岩波新書
2010
[362]
간행물
日中歴史共同研究 第2章 日中戦争―日本軍の侵略と中国の抗戦
[363]
서적
南京
http://zenkoku2mitak[...]
慶應義塾大学、全国通信三田会
2012-10-20
[364]
서적
南京の真実
講談社
1997
[365]
뉴스
捕虜全員を殺害、日本軍、民間人も殺害、南京を恐怖が襲う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18
[366]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37-12-19
[367]
서적
為政略殉―論抗戦初期京滬地 区作戦
国立台湾大学出版委員会
1992
[368]
서적
南京事件を考える
大月書店
1987
[369]
서적
日中戦争の軍事的展開
慶應義塾大学出版会
[370]
서적
南京大虐殺の研究
晩聲社
1992
[371]
서적
映画字幕五十年
早川書房
1985
[372]
서적
参戦勇士九人が語る「南京事件」の真実
[373]
웹사이트
鹿子木孟郎 1874 - 1941 KANOKOGI, Takeshiro
https://search.artmu[...]
独立行政法人国立美術館
2022-08-31
[374]
서적
중일전쟁: 역사가 망각한 그들 1937~1945
[375]
서적
중일전쟁: 역사가 망각한 그들
글항아리
[376]
서적
남경사건
[377]
서적
남경사건
[378]
서적
중일전쟁: 역사가 망각한 그들 1937~1945
[379]
문서
일본군 지휘관들의 군사회의
[380]
문서
국민당 정부의 군사위원회
[381]
문서
시모무라 부장과 중지나방면군 군사사령부가 한통속이 되어 참모본부 명령과 명령계통을 무시하고 남경공략작전을 '하극상' 처럼 진행시킨 것
[382]
문서
일본군 전투기가 출격하기 전 하늘이 밝자마자 측근과 함께 미국인 조종사가 조종하는 두 대의 대형 단엽기를 타고 난징을 빠져나갔다
[383]
문서
난징 성의 북쪽에서 난징 성으로 출입할 수 있는 문
[384]
서적
장제스 평전
[385]
서적
남경사건
[386]
서적
남경사건
어문학사
[387]
서적
중일전쟁: 용, 사무라이를 꺾다 1928~1945
미지북스
[388]
서적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미다스 북스
[389]
서적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미다스 북스
[390]
서적
중일전쟁: 용, 사무라이를 꺾다 1928~1945
미지북스
[391]
서적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난징 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미다스 북스
[392]
웹인용
네이버 영화, 존 라베- 난징 대학살
https://search.naver[...]
[393]
웹인용
네이버 영화, 진링의 13소녀
https://search.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